1 | 0차시_강의 소개 | 13:36 |
2 | 1차시_ 1.1 가상머신의 개념과 VMware 종류 | 14:30 |
3 | 2차시_ 1.1.3 VMware 설치하고 가상머신 생성하기 | 23:36 |
4 | 3차시_ 1.3 VMware 프로그램의 특징과 사용법 | 10:00 |
5 | 4차시_ 1.4.5 VMnet8의 IP 주소 설정과 ISO 파일 생성법 | 13:06 |
6 | 5차시_ 2.1 리눅스와 Rocky Linux 소개 | 17:06 |
7 | 6차시_ 3.1 Server 가상머신에 Rocky Linux 설치하기 | 18:30 |
8 | 7차시_ 3.1 Server 가상머신 관련 설정하기 | 28:48 |
9 | 8차시_ 3.1 가상머신 초기화 방법 | 13:36 |
10 | 9차시_ 3.1.3 Rocky Linux를 텍스트 모드로 Server(B) 가상머신에 설치하기 | 18:24 |
11 | 10차시_ 3.1.3 Client 가상머신에 Rocky Linux 설치하기 | 20:18 |
12 | 11차시_ 3.2 WinClient 가상머신에 Windows 설치하기 | 11:00 |
13 | 12차시_ 4.1 리눅스 필수 개념과 명령: 시스템 시작과 종료, 가상콘솔 | 18:24 |
14 | 13차시_ 4.1.5 리눅스 필수 개념과 명령: 런레벨, 자동완성 | 16:12 |
15 | 14차시_ 4.1.7 리눅스 필수 개념과 명령: 에디터와 도움말 사용법 | 23:12 |
16 | 15차시_ 4.1.9 리눅스 필수 개념과 명령: 마운트와 CD/DVD/USB의 활용 | 27:18 |
17 | 16차시_ 4.2 리눅스 기본 명령 | 17:30 |
18 | 17차시_ 4.3 사용자와 그룹 관련 명령 | 14:42 |
19 | 18차시_ 4.3.2 파일의 허가권과 소유권 | 10:54 |
20 | 19차시_ 4.3.2 링크(하드 링크, 심볼릭 링크) | 5:42 |
21 | 20차시_ 4.4.1 프로그램 설치를 위한 RPM 명령 | 10:18 |
22 | 21차시_ 4.4.2 편리하게 패키지를 설치하는 DNF 명령 | 25:42 |
23 | 22차시_ 4.4 파일의 압축과 검색, 시스템 설정 | 7:06 |
24 | 23차시_ 4.4.6 CRON과 AT | 16:12 |
25 | 24차시_ 4.5 네트워크 관련 명령어와 SELinux | 22:36 |
26 | 25차시_ 4.6 파이프, 프로세스, 서비스 | 12:12 |
27 | 26차시_ 4.9 응급 복구와 GRUB 부트로더 | 15:36 |
28 | 27차시_ 4.11 커널 컴파일 | 17:06 |
29 | 28차시_ 5.1 그놈 데스크톱 환경 설정 | 11:54 |
30 | 29차시_ 5.2 X 윈도 응용 프로그램(노틸러스, 파이어폭스) | 15:00 |
31 | 30차시_ 5.2 X 윈도 응용 프로그램(VLC, Foxit Reader) | 12:24 |
32 | 31차시_ 5.2 X 윈도 응용 프로그램(LibreOffice), 5.3 소프트웨어 센터 | 12:06 |
33 | 32차시_ 6.1 디스크 1개 추가하기 | 22:42 |
34 | 33차시_ 6.2 RAID의 개념과 각 RAID의 방식 비교 | 18:00 |
35 | 34차시_ 6.2.3 가상머신에 디스크 9개 장착하기 | 10:30 |
36 | 35차시_ 6.2.3 Linear RAID 구현 | 10:12 |
37 | 36차시_ 6.2.3 RAID 0, RAID 1, RAID 5 구현 | 13:24 |
38 | 37차시_ 6.2.4 RAID 0, RAID 1, RAID 5 문제 발생 | 11:24 |
39 | 38차시_ 6.2.4 RAID 0, RAID 1, RAID 5의 원상 복구 | 13:30 |
40 | 39차시_ 6.2.5 고급 RAID 구현 | 11:24 |
41 | 40차시_ 6.2.5 고급 RAID 문제 발생 | 4:48 |
42 | 41차시_ 6.3 LVM(Logical Volume Manage) | 12:12 |
43 | 42차시_ 6.4 RAID에 리눅스 설치 | 9:48 |
44 | 43차시_ 6.5 사용자별 공간 할당(쿼터) | 17:24 |
45 | 44차시_ 7.1 셸 스크립트 작성과 실행 | 11:36 |
46 | 45차시_ 7.2.2 셸 스크립트 프로그래밍 문법 | 23:36 |
47 | 46차시_ 8.1 텔넷 서버 | 12:36 |
48 | 47차시_ 8.2 OpenSSH 서버 | 8:24 |
49 | 48차시_ 8.3 XRDP 서버 | 8:12 |
50 | 49차시_ 9.1 네임 서버의 개념과 작동 | 18:48 |
51 | 50차시_ 9.2 캐싱 전용 네임 서버 | 18:54 |
52 | 51차시_ 9.2.4 마스터 네임 서버 | 17:36 |
53 | 52차시_ 9.2.5 라운드 로빈 네임 서버 | 6:48 |
54 | 53차시_ 10.1 메일 서버의 개념과 센드메일 서버 구현을 위한 네임 서버 구축 | 26:24 |
55 | 54차시_ 10.2 센드메일 서버 구현(네이버, 다음 메일 서버 구현) | 29:36 |
56 | 55차시_ 10.3 라운드 큐브 메일 설치 | 24:36 |
57 | 56차시_ 11.1 DBMS의 개념과 간단한 SQL문 | 10:18 |
58 | 57차시_ 11.2 MariaDB 설치 및 접속 | 17:18 |
59 | 58차시_ 11.2.3 MariaDB 생성과 운영 | 7:00 |
60 | 59차시_ 11.3 Visual Studio와 MariaDB의 연동 | 18:48 |
61 | 60차시_ 11.4 Oracle Database Express 설치와 운영 | 16:36 |
62 | 61차시_ 12.1 DNF로 APM 설치 | 8:18 |
63 | 62차시_ 12.1.2 워드프레스를 활용한 웹사이트 구축 | 10:48 |
64 | 63차시_ 12.2 클라우드 서비스 구축 | 20:54 |
65 | 64차시_ 13.1 vsftpd 서버 구축 | 15:18 |
66 | 65차시_ 13.2 Pure-FTPd 서버 구축 | 6:48 |
67 | 66차시_ 14.1 NFS 서버 구축 | 11:48 |
68 | 67차시_ 15.1 Samba 서버_Windows의 공유 폴더 사용 | 7:42 |
69 | 68차시_ 15.2 Samba 서버_리눅스의 공유 폴더 사용 | 10:36 |
70 | 69차시_ 16.1 DHCP 서버 구축 | 18:06 |
71 | 70차시_ 17.1 프록시 서버 구축 | 10:36 |
72 | 71차시_ 18.1 방화벽 개요 | 7:12 |
73 | 72차시_ 18.2 리눅스 방화벽 구축 | 34:24 |
74 | 73차시_ PXE 설치 서버 및 킥스타트 설정 | 20:42 |
75 | 74차시_ 20.1 가상화 기술_Virtual Box에 Windows 10 설치 | 14:18 |
76 | 75차시_ 20.2 가상화 기술_도커 설치와 운영(완강) | 9:36 |
우재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