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| 0차시_이것이 우분투 리눅스다(3판) 소개 | 8:12 |
2 | 1차시_가상머신 소개와 설치 | 15:12 |
3 | 2차시_가상머신 생성 | 21:12 |
4 | 3차시_VMware 특징, VMnet8 설정 | 16:12 |
5 | 4차시_우분투 리눅스 | 8:42 |
6 | 5차시_우분투 리눅스 설치 ① | Server 가상머신 설치 | 11:00 |
7 | 6차시_우분투 리눅스 설치 ② | Server 가상머신 설치 후 설정 | 20:24 |
8 | 7차시_우분투 리눅스 설치 ③ | 스냅숏 활용, 가상머신 초기화 | 10:12 |
9 | 8차시_Server(B) 가상머신 설치 | 19:54 |
10 | 9차시_Client 가상머신 설치 | 15:00 |
11 | 10차시_WinClient 가상머신 설치 | 11:30 |
12 | 11차시_필수 개념과 명령어 ① | 시스템 종료, 가상 콘솔 | 10:06 |
13 | 12차시_필수 개념과 명령어 ② | 리눅스 기본 명령어 | 23:42 |
14 | 13차시_필수 개념과 명령어 ③ | 런레벨, 자동 완성과 히스토리 | 12:12 |
15 | 14차시_필수 개념과 명령어 ④ | 에디터 사용법 | 14:54 |
16 | 15차시_필수 개념과 명령어 ⑤ | 마운트와 CD/DVD, USB 활용 | 25:18 |
17 | 16차시_필수 개념과 명령어 ⑥ | 사용자와 그룹 관리 | 17:06 |
18 | 17차시_필수 개념과 명령어 ⑦ | 파일의 허가권과 소유권 | 13:18 |
19 | 18차시_필수 개념과 명령어 ⑧ | 링크 | 7:00 |
20 | 19차시_필수 개념과 명령어 ⑨ | 프로그램 설치 명령 dpkg | 10:42 |
21 | 20차시_필수 개념과 명령어 ⑩ | 편리한 패키지 설치 명령 apt | 20:18 |
22 | 21차시_필수 개념과 명령어 ⑪ | 파일 압축과 찾기, 시스템 설정 | 9:06 |
23 | 22차시_필수 개념과 명령어 ⑫ | cron과 at | 12:12 |
24 | 23차시_필수 개념과 명령어 ⑬ | 네트워크 관련 설정과 명령어 | 23:24 |
25 | 24차시_필수 개념과 명령어 ⑭ | 파이프, 프로세스, 서비스와 소켓 | 14:12 |
26 | 25차시_필수 개념과 명령어 ⑮ | 응급 복구, GRUB 부트로더 | 14:30 |
27 | 26차시_필수 개념과 명령어 ⑯ | 커널 컴파일 | 20:48 |
28 | 27차시_X 윈도우 시스템 ① | 그놈 데스크톱 환경 설정 | 7:12 |
29 | 28차시_X 윈도우 시스템 ② | 인터넷 앱 및 멀티미디어 앱 | 16:30 |
30 | 29차시_X 윈도우 시스템 ③ | 문서 편집, 그래픽 앱, 리브레오피스 | 11:12 |
31 | 30차시_X 윈도우 시스템 ④ | 다양한 앱 설치 및 활용, KDE | 16:24 |
32 | 31차시_하드디스크 관리 ① | 개념과 디스크 1개 추가 | 10:24 |
33 | 32차시_하드디스크 관리 ② | 디스크 1개 추가 실습 | 18:48 |
34 | 33차시_하드디스크 관리 ③ | RAID 개념과 종류 | 19:42 |
35 | 34차시_하드디스크 관리 ④ | 7개의 하드디스크 장착 | 7:42 |
36 | 35차시_하드디스크 관리 ⑤ | RAID 0, RAID 1, RAID 5 구축 | 17:00 |
37 | 36차시_하드디스크 관리 ⑥ | RAID 장치의 고장 | 12:00 |
38 | 37차시_하드디스크 관리 ⑦ | RAID 장치의 원상 복구 | 10:24 |
39 | 38차시_하드디스크 관리 ⑧ | RAID 6, RAID 1+0의 구축 | 12:24 |
40 | 39차시_하드디스크 관리 ⑨ | LVM 개념과 실습 | 12:42 |
41 | 40차시_하드디스크 관리 ⑩ | 사용자별 공간 할당(쿼터) | 15:06 |
42 | 41차시_셸 스크립트 프로그래밍 ① | 개요와 실행 방법 | 7:18 |
43 | 42차시_셸 스크립트 프로그래밍 ② | 변수, if문과 case문 | 13:00 |
44 | 43차시_셸 스크립트 프로그래밍 ③ | 반복문, 함수, set, shift문 | 13:18 |
45 | 44차시_원격 접속 서버 ① | 텔넷 서버 | 15:36 |
46 | 45차시_원격 접속 서버 ② | OpenSSH 서버, XRDP 서버 | 9:42 |
47 | 46차시_네임 서버 ① | 개요와 hosts 파일 | 19:12 |
48 | 47차시_네임 서버 ② | 도메인 이름 체계와 로컬 네임 서버 | 8:18 |
49 | 48차시_네임 서버 ③ | 캐싱 전용 네임 서버 | 14:06 |
50 | 49차시_네임 서버 ④ | 마스터 네임 서버 | 22:30 |
51 | 50차시_메일 서버 ① | 개념과 환경 구성도 | 7:06 |
52 | 51차시_메일 서버 ② | 메일 서버를 위한 네임 서버 구현 | 20:36 |
53 | 52차시_메일 서버 ③ | 메일 서버 구현 | 27:00 |
54 | 53차시_메일 서버 ④ | 웹 메일 설치 | 19:24 |
55 | 54차시_데이터베이스 서버 ① | DBMS 개념과 SQL문 | 14:00 |
56 | 55차시_데이터베이스 서버 ② | MySQL 설치 | 5:18 |
57 | 56차시_데이터베이스 서버 ③ | Windows에서 MySQL 접속 | 15:42 |
58 | 57차시_데이터베이스 서버 ④ | 쇼핑몰 DB 구축 | 11:42 |
59 | 58차시_데이터베이스 서버 ⑤ | Visual Studio와 MySQL 연동 | 17:48 |
60 | 59차시_데이터베이스 서버 ⑥ | Oracle Database 설치 | 14:12 |
61 | 60차시_데이터베이스 서버 ⑦ | Oracle에서 데이터베이스 구축 | 6:24 |
62 | 61차시_웹 서버 ① | APM 설치 | 6:18 |
63 | 62차시_웹 서버 ② | 워드프레스 설치 및 운영 | 12:24 |
64 | 63차시_웹 서버 ③ | 클라우드 서비스 구축 | 27:54 |
65 | 64차시_FTP 서버 ① | vsftpd 서버 구축 | 12:18 |
66 | 65차시_FTP 서버 ② | SFTP 서버 구축 | 8:30 |
67 | 66차시_NFS 서버 구현 | 13:00 |
68 | 67차시_Samba 서버 ① | 리눅스에서 Windows 폴더 사용 | 9:12 |
69 | 68차시_Samba 서버 ② | Windows에서 리눅스 폴더 사용 | 9:00 |
70 | 69차시_DHCP 서버 | 19:12 |
71 | 70차시_프록시 서버 구현 | 10:36 |
72 | 71차시_방화벽 컴퓨터 ① | 보안을 위한 네트워크 설계 | 8:06 |
73 | 72차시_방화벽 컴퓨터 ② | 방화벽 구현 | 29:42 |
74 | 73차시_PXE 설치 서버와 자동 설치 ① | PXE 설치 서버 구현 | 14:12 |
75 | 74차시_PXE 설치 서버와 자동 설치 ② | Autoinstall | 14:24 |
76 | 75차시_리눅스 가상화 기술 ① | VirtualBox | 8:24 |
77 | 76차시_리눅스 가상화 기술 ② | 도커 | 12:24 |
78 | 77차시_리눅스 가상화 기술 ③ | WSL (완강) | 17:00 |
우재남
우재남 , 박길식(감수)